획수오행 (안태옥 박사의 '끝내주는 이름짓기' 중에서)
획수오행(劃數五行)은 원획법에 따른 한자 획수를 기준으로 오행의 의미를 부여하고 후천수(後天數)를 적용한다. 획수오행을 수리오행(數理五行)이라고도 하는데 오행의 상생구조가 바람직하지만 발음오행과 자원오행 모두를 상생의 구조로 만들기 곤란한 점이 있어 획수오행은 상생의 구조를 무시해도 된다. 그러나 획수에 따른 음양의 배합은 중요하다.
오행 |
木 |
火 |
土 |
金 |
水 |
음양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양 |
음 |
오행천간 |
甲 |
乙 |
丙 |
丁 |
戊 |
己 |
庚 |
辛 |
壬 |
癸 |
선천수 |
3 |
8 |
7 |
2 |
5 |
10 |
9 |
4 |
1 |
6 |
후천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0 |
가령 아래의 도표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같은 한자라고 하여도 발음오행•자원오행•획수오행은 다르게 된다. 그러나 발음오행은 반드시 상생의 구조가 되도록 해야 하지만, 자원오행은 상생의 구조보다는 부족한 오행을 보완해야 한다. 한편 획수오행은 상생의 구조가 되지 않아도 무방하지만 음양의 배합은 균형이 맞도록 한다.
성명(한자) |
안태옥(安珆玉) |
한자음훈 |
성씨 안, 용무늬옥 태, 구슬옥 |
한자획수 |
6 10 5 |
획수음양 |
陰 陰 陽 |
획수오행 |
土 水 土 |
발음오행 |
土 火 土 |
자원오행 |
木 金 金 |
원형이정 |
15 16 11 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