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이정         (안태옥 박사의 '끝내주는 이름짓기' 중에서)
1) 원형이정의 의미
원형이정(元亨利貞)은 일생의 시기를 유추하는 방법인 반면, 근묘화실(根苗花實)은 육친의 궁성을 비교하는 방법이다. 
① 원격(元格)
한자 이름의 첫 자와 끝 자 획수의 합이다. 
1세 부터 19세까지의 초년환경 운을 지배한다.
② 형격(亨格)
한자의 성과 이름의 첫 자 획수의 합이다. 
20세부터 38세까지의 청년기 운을 지배한다.
③ 이격(利格)
한자의 성과 이름의 끝 자 획수의 합이다.
39세부터 57세까지의 장년기 운을 지배한다.
④ 정격(貞格)
일명 총격(總格)으로 한자의 성과 이름의 모든 획수의 합이다. 
58세부터 말년까지의 노년기 운을 지배한다.
2) 원형이정의 적용
① 一字성 一字이름
| 
 | 
 허  | 
 | 
 수  | 
 x  | 
 | 
 | 
 원격=7획수(秀 + X) 
형격=18획수(許 + 秀) 
이격=11획수(許 + X) 
정격=18획수(성과 이름 전체 획수의 합)  | 
| 
 | 
 許  | 
 | 
 秀  | 
 x  | 
 | 
| 
 | 
 11  | 
 | 
 7  | 
 x  | 
 | 
② 一字성 二字이름
| 
 | 
 신  | 
 | 
 성  | 
 일  | 
 | 
 | 
 원격=10획수(星 + 一) 
형격=14획수(申 + 星) 
이격=6획수(申 + 一)  
정격=15획수(성과 이름 전체 획수의 합)  | 
| 
 | 
 申  | 
 | 
 星  | 
 一  | 
 | 
| 
 | 
 5  | 
 | 
 9  | 
 1  | 
 | 
③ 一字성 三字이름
| 
 | 
 이  | 
 마  | 
 리  | 
 아  | 
 | 
 | 
 원격=29획수(馬 + 理 + 我) 
형격=17획수(李 + 馬) 
이격=14획수(李 + 我) 
정격=36획수(성과 이름 전체 획수의 합)  | 
| 
 | 
 李  | 
 馬  | 
 理  | 
 我  | 
 | 
| 
 | 
 7  | 
 10  | 
 12  | 
 7  | 
 | 
▷리(理-11획)의 자원오행은 옥(玉-5획)이므로 12획수가 됨
④ 二字성 一字이름
| 
 | 
 남  | 
 궁  | 
 진  | 
 x  | 
 | 
 | 
 원격=10획수(眞 + X) 
형격=29획수(南宮 + 眞) 
이격=19획수(南宮 + X) 
정격=29획수(성과 이름 전체 획수의 합)  | 
| 
 | 
 南  | 
 宮  | 
 眞  | 
 x  | 
 | 
| 
 | 
 9  | 
 10  | 
 10  | 
 x  | 
 | 
 
⑤ 二字성 二字이름
| 
 | 
 남  | 
 궁  | 
 형  | 
 숙  | 
 | 
 | 
 원격=32획수(馨 + 淑) 
형격=37획수(南宮 + 馨) 
이격=39획수(南宮 + 淑) 
정격=49획수(성과 이름 전체 획수의 합)  | 
| 
 | 
 南  | 
 宮  | 
 馨  | 
 淑  | 
 | 
| 
 | 
 7  | 
 10  | 
 20  | 
 12  | 
 | 
▷숙(淑-11획)의 자원오행은 수(水-4획)이므로 12획수가 됨